목장 게시판
밥을 먹는 것도 예배입니다.
신약성경의 복음서를 읽어보면 예수님의 사역에는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함께 식사하는 모습입니다. 예수님은 바리새인들과도 식사를 하셨고, 세리와 같은 죄인들과도 식사를 하셨고, 제자들과 마지막 시간을 보낼 때도, 또 부활 후 다시 만나서도, 그리고 베드로의 실수를 위로하시고 다시 사명을 주실 때도 언제나 식사의 자리에서였습니다. 식사하는 모습이 그렇게 자주 등장한다는 것은 밥을 같이 먹고 싶어했던 예수님의 의도였다는 것과 교회와 밥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 줍니다.
마침내 예수님이 승천하시고 오순절을 통해서 교회가 시작되자마자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제자들은 일제히 ‘집집이 돌아가면서 빵을 뗐다(행2:46)’ 즉 집집이 돌아가면서 식사를 준비하므로서 서로를 향한 사랑을 확인하였으며, 자연스럽게 교회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공동체가 함께 먹는 밥의 중요성은 예수님이 강조하시기 전에 이미 하나님의 명령이었습니다.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내 앞에 나와서 함께 먹고 마시며 즐거워하라(신12:7)’고 하실 때에 하나님은 이미 밥을 함께 먹는 것을 예배의 연장선상에서 가르치셨습니다.
식사가 거룩한 예배라는 것을 바리새인들과 율법학자들은 구약성경을 통해서 알았기 때문에 예수님이 거룩하지 않은 사람들과 식사를 하는 것을 볼 때 그토록 기겁을 했던 것입니다. 예수님의 식사는 우리끼리의 식사가 아니라 구원받아야 할 사람들을 불러 앉히고 함께 은혜를 누리며 앞으로 다가올 영원한 천국의 잔치를 맛보여 주고 싶어했던 마음이었습니다. 이와 같은 영적인 의미를 안다면 우리는 목장과 교회에서 하는 식사를 거룩한 차원에서 보아야 합니다. 즉 목장에서 섬기는 마음으로 정성스럽게 차린 밥상에 함께 앉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누리는 거룩한 예배입니다. 그러므로 예배를 드리기 전에 형제와 화해하라는 말씀을 기억하고 함께 밥을 먹으며 미운 마음, 불편한 마음으로 먹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공동체의 식사는 목자의 가정에서만 일방적으로 준비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구원받은 주의 백성으로서 우리가 함께 예배에 참여한다는 마음이 있다면 기꺼이 우리의 집을 열어서 섬김을 준비하는 것이 예배자의 자세이기 때문입니다. 집집이 돌아가면서!(구미 남교회 천석길 목사님 칼럼)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
공지 | 가정교회 / 건강한 교회성장 이야기 15 | 운암 | 2019-07-21 |
공지 | 여기는 목장과 초원의 이야기들을 쓰는 곳입니다. 14 | 운암 | 2019-07-16 |
1778 | 이정원/정영숙 선교편지 4-017 | 이정원 | 2023-12-29 |
1777 | 하루한쌈 개업(이성미집사) | 박장진 | 2023-08-24 |
1776 | 담임 목사님 생명의삶 강의 마지막~ | 박장진 | 2023-06-19 |
1775 | 10조(조상수목자) 모임 | 박장진 | 2023-06-19 |
1774 | 5월 27일 뱅갈로 목장 | 장춘희 | 2022-05-27 |
1773 | 5월 20일 뱅갈로 목장 66 | 장춘희 | 2022-05-20 |
1772 | 5월6일 뱅갈로 목장 | 장춘희 | 2022-05-15 |
1771 | 뱅갈로 목장입니다. 1 | 장춘희 | 2022-04-29 |
1770 | 3월조상수 조 목자목녀 모임 | 박장진 | 2022-03-23 |
1769 | 우리가 가정교회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박장진 | 2020-12-11 |
1768 | 온라인 목장 시작하기 | 박종일 | 2020-04-08 |
1767 | 목장 모임을 이렇게 했습니다. | 박장진 | 2020-04-01 |
1766 | 2020 어려운 곤경에 처했을 때 하나님께 엎드려 올리는 공동기도문 1 | 박장진 | 2020-02-25 |
1765 | 최영기목사님 새로운 책을 소개합니다. | 박장진 | 2020-02-24 |
1764 | 2020년 가정교회 간증집이 출간되었습니다(문의: 가사부) | 박장진 | 2020-02-07 |
댓글